'길고양이 릴리 아가씨' 언론보도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 표지 이미지
*울산신문(25.01.05)
김이삭 신간 동시집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 v출간
아르코 발간지원 선정 13번째 동시집 일상 속 사물·생명 따뜻하게 풀어내
김수빈 기자 입력 2025.01.05 20:10
김이삭 시인의 신간 동시집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가 출간됐다.
이번 작품은 2024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 발간지원금에 선정돼 푸른책들 '푸른 동시놀이터' 시리즈의 13번째 동시집으로 자리매김했다.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는 어린이와 어른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의 45편의 시를 담고 있으며 시인의 일상적인 관찰과 그 너머의 깊은 이야기를 유쾌하고 따스하게 풀어냈다.
김이삭 시인은 고양이, 꽃게, 고등어 등 우리가 지나치기 쉬운 일상 속의 사물과 생명에게 귀 기울이며 그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의 걸음, 바닷가에서 만난 꽃게 형제, 갈대와 억새의 약속 등은 시인만의 독특한 시선으로 풀어내며 독자들에게 새로운 세계를 제시한다. 책은 4부로 나뉘어 있으며 각 부마다 다양한 이야기와 감동이 펼쳐진다. (이하 생략..)
▼기사 전문 바로가기 ▼
*소년한국일보(25.01.06)
「책꽂이 엿보기」가족ㆍ자연ㆍ상상 가득 ‘동심’ 속으로
기자명 서원극 기자 입력 2025.01.06 10:36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김이삭 지음ㆍ푸른책들 펴냄)에는 웃음과 위안을 주는 45편의 시가 실렸다. 작품 주인공들은 네일 가게 이모, 신천리 이팝나무 등 세상 곳곳에 어울려 사는 사람들과 사물이다. 그래서 더 친근감이 간다.
▼기사 전문 바로가기 ▼
*경상일보(25.01.07)
문학으로 풀어낸 삶의 고뇌와 사회의식
기자명 차형석 기자 승인 2025.01.07 00:10
◇김이삭 동시집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
아동문학가 김이삭 작가가 13번째 동시집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푸른책들·96쪽)을 발간했다.
이번 시집은 △1부 고양이 이모 △2부 아이스크림 먹고 싶은 날 △3부 바다 게스트 하우스 △4부 개망초 농부 등으로 나뉘어 총 45편의 시가 실렸다
출판사는 서평을 통해 “김이삭 시인이 일상을 포착하는 시선은 어린이의 시선과 그 위치가 같다”며 “거리를 누비는 고양이, 마트에서 만난 고등어, 멸치, 꽃게 등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일상의 풍경을 아이의 눈높이에서 바라보며 그 너머의 이야기를 들여다보게 하는 김이삭 시인의 동시들은 독자에게 생명과 사물의 경계 없이 세상 모든 것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법을 알려 준다”고 했다.
(이하 줄임..)
▼기사 전문 바로가기 ▼
*경남신문 (25.01.13)
본지 신춘문예 작가 ‘신작 보따리’ 풀었다
이상원 시인·김이삭 아동문학가·조남숙 수필가 3인
6번째 시집·어른 아이 공감 동시집·36편의 수필집 펴내
◇김이삭 동시집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 2008년 본지 동화 부문으로 등단했던 김이삭 아동문학가의 동시집. 그가 일상을 포착하는 시선은 어쩐지 어린이의 것과 높이가 같아서, 보통의 어른이었다면 무심코 지나쳤을 풍경이 시집에 가득하다.
아이 눈높이에서 세상을 바라보며 그 너머의 이야기를 들여다보게 하는 동시들은 독자에게 생명과 사물의 경계 없이 세상 모든 것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법을 알려주는 듯하다. 표제시의 주인공인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를 따라가다 보면 네일 가게 이모, 양보 왕 농부 아버지, 아프리카 난민 소년 파나를 만날 수 있다.
세상을 비추는 따뜻한 시선과 창의적인 상상력으로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공감할 수 있는 45편의 시가 담겼다.
▼기사 전문 바로가기 ▼
*월광 불광(25년 2월호)
[불광서재] 붓다, 성과 사랑을 말하다 외
-불광미디어 승인 2025.01.22 11:27
길고양이 릴리 아가씨 김이삭 지음 | 푸른책들 | 96쪽 | 14,800원
푸른문학상’, ‘우리나라 좋은 동시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여러 도서관과 초등학교의 방과후교실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며 30년 가까운 시간 동안 시를 써온 김이삭 시인의 동시집이 출간됐다. 어른과 아이 할 것 없이 공감할 수 있는 내용으로 웃음과 위안을 주는 45편의 시가 실렸다. 일상을 생생하게 비추면서도 일상 너머의 더 깊은 이야기를 떠올리게 하는 통찰력이 담긴 동시들이다.
▼기사 전문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