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대감각을 입고 재탄생하다!
아이들의 책상에는 언제나 연필이 있다. 연필은 마음을 표현할 수 있는 좋은 도구이다. 아이들은 연필로 글도 쓰고, 그림도 그리고, 열심히 공부도 한다. 우리 일상을 늘 함께해 온 연필을 유심히 관찰해 보면, 모두 다른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글씨체를 뽑아낸다.
또 시인이 창조한 세계에서 연필은 살아 움직이기까지 한다! 마치 아침에 엄마가 깨우면 눈을 비비며 이불 속에서 꾸물대는 아이처럼, 연필은 느릿느릿 늑장을 부리며 종이에 닿기 전까지 좀처럼 깨어나지 않는다.
깊은 잠에 빠져 있는 새 연필
칼로 한 겹 한 겹 깎아 내도
여전히 잠만 잔다.
까만 심이 쪼끔 드러나자
그때서야 바스스 눈을 뜨고,
심을 뾰족이 갈고 손에 꼭 쥐니
나릿나릿 기지개를 켠다.
흰 종이에 가져가자
눈부신 듯 눈을 깜작거리다가는
종이와 닿는 순간, 비로소
소스라쳐 깨어난다.
- 신형건 동시, 「연필」 전문
바로 이 ‘연필’에 ‘시’를 더하여(연필+시) 동인 이름을 정하고 20년간 함께한 9명의 시인이 있다. “우리 동인들은 날마다 새로이 뾰족하게 연필을 깎습니다. 그러고는 좋은 동시를 쓰기 위해 흰 종이를 앞에 놓고 밤을 꼬박 새우곤 합니다.”라는 동인 선언을 한 ‘연필시 동인’이 2001년에 펴낸 세 번째 동시집이 바로 『얘, 내 옆에 앉아!』이다. 동시집으로서는 드물게 22년 동안 쇄를 거듭하며 꾸준히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스테디셀러인데, 이번에 새로운 시대감각으로 새 단장을 하고 재개정판으로 거듭났다.
세대를 초월해 모두에게 친숙한 시인들
‘연필시 동인’은 좋은 동시를 쓰기 위해 20년 간(1992~2012년) 함께 활동해왔으며, 구성원 모두 30~40년 전부터 <국어> 교과서에 동시가 여러 편 수록된 시인들이다. 그래서 이들은 벌써 부모가 된 세대로부터 지금의 아이들까지, 세대를 초월해 <국어> 교과서를 펼쳐 본 적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라도 친숙할 것이다. 한 장 한 장 넘기다 보면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를 알아보는 재미 또한 쏠쏠하게 느낄 수 있는 이 동시집엔 늘 어린이에게 시로 가깝게 다가가려는 시인들의 진실한 마음이 담겨 있다.
동시는 지루하고 재미없다는 선입견을 타파한 54편의 동시 모음으로 1~4부까지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의 흐름에 따라 자연·가족·친구들과 함께하는 일상을 조화롭게 펼쳐 재구성하였다. 동시집 『얘, 내 옆에 앉아!』에서 개성이 각각 다른 9명의 시인들이 내는 다채로운 목소리를 들으며, 독자들은 미처 알아차리지 못했던 일상 속 작은 속삭임들을 마주하게 된다.
특별히 동시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세상을 보는 새로운 눈은 아이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동시집 『얘, 내 옆에 앉아!』를 펼치면 꽃과 나비를 세어 보며 봄에만 할 수 있는 싱그러운 계산을 하고(손동연 「기분 좋은 덧셈」), 들판을 여행하기에 앞서 어디로 갈지 고민하는 빗방울을 만날 수 있다(박두순 「망설이는 빗방울」). 마치 웃음주머니 같은 앞니 덕분에 이를 드러내며 환하게 미소 짓고(신형건 「웃는 아이의 앞니를 노래함」), 누군가를 너그러이 품는 마음이 가장 큰 행복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노원호 「행복한 일」).
이렇듯 아홉 시인의 다양한 시각을 통해 아이들은 일상적으로 늘 보아 오던 한정된 세계를 벗어나, 좀 더 확장되고 새로이 열린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이 시대의 어린이 독자들이 좋은 동시를 통해 감수성이 빼어난 어른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 더불어, 20여 년간 사랑받아 온 연필시 동시집 『얘, 내 옆에 앉아!』가 먼 훗날까지도 오래오래 사랑받는 책이 되기를 기대한다.